감기약 복용 후 가슴 두근거림, 부정맥 신호일 수 있어요
혹시 여러분도 단순한 감기약 복용 후 심장의 두근거림이 느껴지신적 있으셨나요? 그런데도 혹시 그냥 지나치셨나요? 의외로 심각한 심장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. 지금 확인해보세요.
저희 아버지가 얼마 전 감기 기운이 있어 편의점에서 산 감기약을 먹었는데, 먹고 난 후 심장이 갑자기 ‘두근두근’ 뛰기 시작하셨대요. 집에 그냥 앉아있기만 해도 가슴이 쿵쾅거리는 게 느껴지신다고 하시더라고요. 처음에는 아버지 얘기를 듣고 불안한 마음에 검색해봤는데, 이게 부정맥일 수도 있다고해서 깜짝 놀라서 모시고 병원에 갔었습니다. 혹시 저희 아버지처럼 감기약 복용 후 두근거림을 경험한 분들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보, 정리해드립니다.
감기약 복용 후 두근거림의 원인
감기약에는 다양한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데, 이 중 교감신경을 자극하는 비충혈 제거제(예: 슈도에페드린, 페닐에프린)가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. 이 성분들은 코막힘을 완화해주지만, 동시에 심박수를 증가시키거나 불규칙하게 만들어 심계항진(두근거림)을 유발할 수 있어요.
또한 카페인 성분이 포함된 감기약도 심박수를 높이고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일부 항히스타민제, 스테로이드(소론도 등)도 예민한 사람에게는 심혈관계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요.
감기약과 부정맥의 관계
부정맥은 심장의 전기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겨 심장이 너무 빠르거나, 느리거나, 불규칙하게 뛰는 상태를 말해요. 감기약 중 일부 성분은 심장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줘 이러한 리듬의 이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특히 고령자, 고혈압·심장질환 병력이 있는 사람, 평소 카페인에 민감한 체질을 가진 사람은 감기약 복용 전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안전해요.
실제 사례 및 심계항진 유발 성분
- 2025년 4월, 감기약 복용 후 심박수 126회까지 상승한 사례 보고
- 슈도에페드린, 소론도 포함 감기약에서 심계항진 증상 다수 보고
- 심계항진 외에도 어지럼증, 복시, 손 떨림, 호흡곤란 등 동반 가능
성분명 | 심계항진 유발 가능성 | 비고 |
---|---|---|
슈도에페드린 | 높음 | 교감신경 자극, 비충혈 제거제 |
페닐에프린 | 높음 | 교감신경 자극 |
카페인 | 중간~높음 | 각성 효과, 심박수 증가 |
스테로이드(소론도) | 중간 | 부작용으로 보고된 바 있음 |
항생제 | 낮음 | 심박수에 직접적 영향 드뭄 |
두근거림 발생 시 대처법
감기약 복용 후 가슴이 두근거린다면, 먼저 복용을 중단하고 증상의 경과를 지켜보세요. 특히 심박수가 1분에 100~120회 이상으로 지속되거나, 어지럼증, 숨참, 메스꺼움 등이 동반된다면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 심전도(ECG)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
- 감기약 성분 확인: 슈도에페드린, 페닐에프린, 카페인 유무 확인
- 심박수 자가 측정: 손목 맥박 확인 또는 스마트워치 활용
- 기존 심장질환·고혈압·고령자라면 복용 전 의사 상담 필수
전문가 및 질병관리청 권고
질병관리청과 WHO는 다음과 같이 권고하고 있습니다.
- 약물 복용 후 두근거림, 어지럼증, 불규칙 맥박 시 즉시 복용 중단
- 증상이 30분 이상 지속되면 병원 내원 및 심전도 검사
- 기존 심장질환자 및 고혈압 환자, 고령자: 감기약 복용 전 전문가 상담
아니요. 심계항진은 일시적인 자율신경 반응일 수 있어요. 하지만 증상이 반복되거나 오래가면 심전도 검사가 필요합니다.
약국에서 ‘비충혈 제거제 없는 제품’이라고 요청하시면 슈도에페드린 없는 감기약도 가능합니다.
일반적인 진통제(타이레놀, 이부프로펜 등)는 심계항진과 큰 관련은 없지만, 카페인 복합제일 경우 영향을 줄 수 있어요.
두근거림이 10~20분 내 진정되고,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으면 지켜봐도 됩니다. 반복되면 꼭 검사 받으세요.
가까운 내과나 심장내과, 순환기내과에서 심전도(ECG) 검사를 받으실 수 있어요. 5분이면 끝나는 간단한 검사입니다.
카페인 섭취를 줄이고, 수분을 충분히 마시며, 혈압·심박 체크를 하면서 약 복용을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.
보통은 일반 종합감기약을 먹고 심장이 벌렁거리면 단순하게 생각하고 "내가 예민해서 그런가?" 하고 넘기기 쉬워요. 저도 아버지께서 그렇게 말씀하셨을 때 처음엔 그냥 지나쳤습니다. 하지만 두근거림이 계속 반복된다고 하시니 겁이 나더라고요. 아버지를 모시고 병원에서 심전도 검사를 받아보니 다행히 큰 이상은 없었지만, 슈도에페드린 성분이 체질에 맞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. 약도 ‘체질’에 맞게 먹어야 하는 시대예요. 평소 심장 두근거림을 자주 느끼신다면, 감기약 한 알도 신중히 선택하세요.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기 발견이 생존율 좌우! 암 초기증상 절대 놓치면 안 되는 이유 (0) | 2025.04.20 |
---|---|
건강검진 결과 ‘간수치 상승’? 숨은 질환이 원인일 수 있어요 (2) | 2025.04.20 |
수면 충분한데 피곤하다면, 수면무호흡증 검사 받아보세요 (1) | 2025.04.19 |
"건강검진에서 ALT 수치 높다?" 지방간 신호일 수 있습니다 (0) | 2025.04.19 |
소변이 자주 마려운 이유, 전립선낭종 때문일 수 있습니다 (1) | 2025.04.19 |